산문코너) 내가 경험한 육이오 사변

Share This Post

이영자영문과 64졸업

1950년 여름 북한 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하고 한강 다리가 폭탕으로 무너졌을 때였다.

우리집 식구 어머니, 언니, 나, 남동생 셋 그리고 두 삼촌과 같이 먼거리 조부모님이 사시는 전라북도 줄포로 가기를 결정했지요. 아버님이 그 당시 미국에 계셨기 때문에 얼른 피난해야 했었습니다. 그해 4월에 한국 방직협회에서 아버님을 Trainee로미국으로 보내셔서, 우선 먼저 가셔서 정참하시고 나서 우리 식구들은 미국으로 데려가기로 했는데, 두 달 만에 육이오사변이 벌어졌습니다.

우리 아버지는 제일 맏아들로, 남동생 3, 여동생 3이고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유교와 불교를 믿으셨습니다. 교육열이 강하신 분이어서 아들 넷을 다 교육시키시려고 아래 동생 셋을 서울로 다 보냈습니다. 그 당시, 우리는 명륜동 집에서 어머님이 대들 다섯 (언니, 나 그리고 남동생3)과 삼촌 셋 모두 열식구가 한 집에서 식모 하나두고 살았습니다.

그 때 첫째 삼촌은 서울 부속중학교 선생님이고, 막내삼촌은 대학교 학생이었는데 둘다 납치되었고, 둘째 삼촌은 서울의과대학교 학생. 그 삼촌이 가는동안 먹을 쌀, 냄비, 옷 등 그리고 막냇동생을 rickshaw에 싣고 밀면서 줄포로 먼 길을 떠났습니다.

우리 어머니는 그 때 33세, 남편없이 어린 아이들 다섯(12세, 9세, 7세, 5세, 3세)데리고 삼촌, 외삼촌 모두 8명의 여행. 외삼촌은 Avid cyclist여서 동생하나, 나 둘을 앞에 태우고 10일동안 가는 동안 많은 폭격과 썩는 시체를 지나가면서, 중간마다 인민군에게 검문 당하니, 함께 다같이 가지 않고 둘로 나눠서 미리 지정한 데서 만나 저녁을 같이 했습니다.

밤에는 빈 집이나 어떤 때는 폭격이 심해서 다리 밑에 숨어 있었고, 어떤 때는 저녁을 만들고 있을 때 폭격이 시작하여서 불을 끄고 밥이 반정도 된 거의 생쌀로 배를 채운 적도 있었습니다. 두 삼촌들과 우리 가족들은 피차간에 서로 도움을 받았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삼촌들 덕에 무사히 줄포까지 왔고, 삼촌들은 이북으로 납치되지 않았으니까요. 어린애들 때문이었지요, 인민군한테 우리들을 할아버지 집에 데려다 주고 나서 그들에게 join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 당시 납치당한 막내삼촌이 형한테 같이 도망가자고 했는데, 첫째 삼촌은 두려워서 그냥 그대로 남아있고, 막내삼촌만 혼자서 할아버지 댁으로 간신히 왔습니다. 삼촌 둘 (둘째, 막내)은 얼마동안 할아버지 집 대청 밑에 땅을 파고 구멍을 만들어 외인이 오면 그것으로 들어가 숨어서 지내곤 했습니다. 어떤 때는 동네사람한테 들켰는데 인민군한테 보고를 안 했지요.

그 이유가 할아버지가 동네사람들한테 인심을 잃지않고 존경을 받으신 이유가 아닌가 싶습니다. 조부모님 덕으로 우리 가족들이 다 무사히 전쟁을 보냈는데 단 한 가지는 지금까지 첫째 삼촌이 행방불명입니다. 그 당시 할아버지는 농사를 해서 좋은 crops 아끼고 식구들한테 주지 않고 저장해서 ) 할아버지 하시는 말씀이 “내 손에 과일이 있는데 그것을 내가 먹으면 그만 없어지지만 남한테 주면 그 선의 행위는 항상 흔적을 남김다”고 하셨습니다.

어떤 때는 너무 오랫동안 간직하시다가 썩어서 pig feed가 된 적도 있구요. 우리는 집 안채에서 살고 사랑채는 그 당시 설탕회사에서 책임자로 있는 식구가 살고 있었습니다. 하루는 내가 그 집 식모도 흰쌀밥을 먹는 것을 보고 그렇게 부러워한 적도 있었지요. 우리는 매일 꽁보리밥만 먹는데… 그 당시 보리가 쌀보다 더 영양이 있는 것을 몰랐으니까요. 고생을 했기 때문에 안 한 사람보다 지금 더 감사를 느끼는 것이 아닐까요? 한국 속담에 “ 젊었을 때 고생은 사서도 한다”하는 말에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P.S. 저는 1964년도에 이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에 와서 Master’s degree in library science 한 후 4년 college library에서 일하는 중 필라델피아에서 남편을 만나 결혼을 했지요. 아들 하나를 낳고 후에 real estate broker로 30년 일하다가 3년 전에 retire했습니다. 남편은 서울 공대 전기과 졸업하고 Raytheon Company 에서 Chief Scientist 로 일한 다음 10년 전에 reitire 했음. 그 후 ‘meals on wheels’에서 자원봉사 하다가 작년에 그 만 두었습니다. 그동안 바쁘게 항상 살아가느라고 세월이 가는 걸 못 느꼈습니다. 후회도 됩니다. 건강히 모두 다 잘 지내시기 바라면서!

“The clock is running. Make the most of today. Time waits for no man. Yesterday is history. Tomorrow is a mystery. Today is a gift. That’s why it is called the present. “

– Alice Morse Earle 그때는 몰랐다.

More To Explore

신입 동창 환영회

2025년 2월 차세대 신입 동창 환영회가 있었습니다. 차세대 동창30명 참여했습니다

최근게시물

신입 동창 환영회

2025년 2월 차세대 신입 동창 환영회가 있었습니다. 차세대 동창30명 참여했습니다

성탄절 이웃방문

성탄절을 바로 앞에 둔 12월 15일 이대 동창회에서 이웃 사랑을

2023년 연말파티

12월 2일, 12년만의 큰 북 미주 보스턴 총회를 마치고, 잠시

2023년 송년파티

송년파티에 여러분들을 초대합니다. 참가신청은 11월25일 토요일까지 카톡이나 개별적으로 해 주세요!

2023 총회
지회소개
공지행사
동창회보
동창게시판